과제 4

[후기] 4가지 중 안정형 애착유형이 되는 방법

나는 부모님이 만든 삼각관계로 인해서 문제가 생긴 듯 하다. 엄마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몰론 아빠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런데 엄마 말을 듣는 것은 잘못된 거다. 엄마도 아빠도 내편이지만 아빠는 엄마 말을 듣지 마라고 한다. 항상 엄마가 문제라고 한다. 나는 엄마와 아빠를 선택해야 했다. 엄마를 선택했다. 그 결과는? 아빠한테 대든다고 뒤지게 맞았다. 지금은 내가 엄마 밑에서 자라서 내가 싸가지 없이 자랐다고 욕먹는다. 그래서 엄마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냐? 타국에서 홀로 한국에 오셔서 돌아갈 곳도 없다. 결국에 나는 엄마, 아빠 둘다 못 믿는다. 아빠는 엄마가 아빠 말을 안 들어서 모든 문제가 생겼다고 말한다. 아빠는 내가 그런 엄마 밑에서 자랐기 때문에 모든 문제가 생겼다고 말한다. 엄마는 어..

과제 2023.10.05

2.3 궁궐의 구조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탈 | 궁궐·종묘 (heritage.go.kr) 왕실의 거처이자 행정의 최고 중앙 관청이었던 궁궐. 많은 건물들이 기능에 따라 각기 일정한 구역에 모여 짜임새 있는 공간을 구성한다. 오문삼조의 공간구조 중국 고대부터 전해오는 궁궐 구성의 원칙적인 구성이 "오문삼조"였다. 궁궐은 궁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내부가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있다. 각 구역에는 들어가는 문이 있는데, 남에서 북으로 가면서 다섯 개의 문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 다섯 문 안에 ‘외조, 치조, 연조’ 라는 세 조정이 있어 "오문삼조"라는 궁의 공간구조가 형성된다. 궁궐 공간의 구조와 기능 1. 외전 외전은 왕이 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는 공간이다. 외전 중 핵심이 되는 공간이 바로 정전이다. 정전은 궁궐에서 외형..

과제 2022.03.24

2.2.1 경복궁 건설#1

1395년(태조 4년)에 창건하였다. ‘경복(景福)’은 시경에 나오는 말로 왕과 그 자손, 온 백성들이 태평성대의 큰 복을 누리기를 축원한다는 의미다. 풍수지리적으로도 백악산을 뒤로 하고 좌우에는 낙산과 인왕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길지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불탄 이후 그 임무를 창덕궁에 넘겨주었다가 1865년(고종 2년)에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중건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건물을 짓는 등 많은 전각들이 훼손되었으나, 1990년대부터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는 등 복원사업을 벌인 덕분에 복원 작업은 현재 거의 완료된 상태이다. 백악춘효(白岳春曉) 여름본, 여름의 백악산(북악산)과 경복궁을 그린 안중식의 작품이다. 1392년 조선 왕조를 개창한 태조는 즉위 3년째인 1..

과제 2022.03.24

2.1 법궁과 이궁

우리역사넷 (history.go.kr) 조선의 양궐 체제 조선시대에 왕이 살던 궁궐은 경복궁 이외에도 4개가 더 있었다. 동쪽에 창덕궁(昌德宮)과 창경궁(昌慶宮), 서쪽에 경희궁(慶喜宮)과 덕수궁(德壽宮)이 그것인데, 이를 합쳐 우리는 5대 궁궐이라 일컫는다. 위치나 방향에 따라 동궐(東闕)과 서궐(西闕)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들 5대 궁궐이 조선 왕조와 흥망성쇠를 함께하였다. 시대마다 여러 궁궐 가운데 으뜸이 되는 궁궐이 있기 마련인데, 이를 법궁(法宮)이라 한다. 이곳에는 왕실 생활공간뿐 아니라, 백관의 조회(朝會)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맞는 등 공식적인 활동 공간이 고루 잘 갖추어져 있다. 그런데 화재나 뜻하지 않은 변고가 생겼을 때, 혹은 국왕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곳으로 옮겨 집무를 보..

과제 2022.03.24